728x90 반응형 SMALL 인생글귀5 나이 40 넘었는데 이 3가지 못버리면 추해집니다 나이 40 넘었는데 이 3가지 못버리면 추해집니다 삶을 빛나게 하는 길은 우리의 아집으로 움켜진 것들을 놓을 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유연함과 공감력으로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바꿀 수 없는 것들에 집착하지 않고,내가 최선을 다한 것들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감사하는 마음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1. 모서리 '모난 돌이 정 맞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젊을 때야 삶의 경험이 부족하고 좌충우돌 도전하는 시기이니모가 좀 나 있더라도 괜찮지만, 인생 수업을 제법 한 나이가 되었다면 나의 모서리를 점검해야 합니다. 자기 주관을 없애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내가 틀릴 수도 있다.' 타인의 다양한 생각을 받아줄 수 있는 둥글둥글한 유연함과 공감 능력을 갖추라는 이야기입니다. 2. 집착'행복에 이르는 .. 2024. 12. 30. 바쁘게 살다 보면 놓치게 되는 '이것' 바쁘게 살다 보면 놓치게 되는 '이것' 주말 아침, 민영이는집에 쌓인 빨래를 보며 한숨을 내쉬었다. '오늘도 밀린 집안일 다 하고, 오후엔 회사 일 좀 해야겠지.저녁 약속은 또 취소해야겠네...' 그런데 휴대폰 알림음이 울렸다.친구의 메시지였다. "야, 오늘은 진짜 얼굴 좀 보자! 한 달 동안 못 봤잖아." 민영은 잠시 고민했다.'보고 싶긴 한데... 오늘도 너무 바쁜데 어떡하지?' "미안, 오늘은 너무 피곤해서 다음에 보자." 그렇게 약속을 또 미룬 민영은 한참 후,미영의 SNS에서 그 친구가 다른 사람들과 즐겁게 시간을 보내는 사진을 보았다. '아... 나만 빠졌네.' 문득 민영은 깨달았다."내가 너무 바빠서, 내 삶이 내 삶 같지 않다." 민영이처럼 바쁜 일상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종.. 2024. 12. 27. "우울증 걸린 아빠를 위해 일곱 살 아이가 쓴 일기" "우울증 걸린 아빠를 위해 일곱 살 아이가 쓴 일기" 제목 : 내가 자랑하고 싶은 사랑 내가 가장 자랑하고 싶은 사람은 우리 아빠이다. 아빠는 회사가 아주아주 먼 데도 성실하게 아무 말 없이 회사를 잘 다니신다. 아빠는 아침 6시에 나가셔서 저녁 7시가 넘어서 오시는데 가끔은 10시가 넘어서도 오신다. 나는 9시에 일어나는 것도 힘든데 아빠는 다리가 튼튼해서 하나도 안 힘들다고 하셨다. 그러고는 나를 꼭 안아 주셨는데 좋았다. 그래서 내가 어떤 사람으로 자라고 싶냐면 나는 아빠처럼 무슨 일이든 최선을 다해 열심히 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아빠처럼 튼튼한 다리로 매일 회사에 나가는 사람이 될 거다. 그래서 아빠가 나 대신 늦게까지 잤으면 좋겠다. 아빠 아프지 마세요. 내가 어른이 될 때까지. 1996년.. 2024. 11. 26. 늘 방이 더럽다면 의외로 '이 문제'일 수 있다 늘 방이 더럽다면 의외로 '이 문제'일 수 있다 공무원 수험생인 연하 씨의 방은 늘 엉망입니다.깨끗하게 청소하고 싶은 마음은 간절한데 도무지 치울 의욕이 생기질 않습니다. 정우 씨는 당일에 약속을 취소하는 일이 많습니다.약속을 정할 때만 해도 신이 나는데 약속 당일만 되면 모든 게 귀찮아집니다. 미진 씨는 알아주는 워커홀릭입니다.하루만 푹 쉬고 싶다고 생각하다가도 막상 쉬는 날이 되면 일 생각에 불안해집니다. 저는 심리 상담사로 일하며, 정말 고치고 싶은데 절대 고쳐지지 않는 문제 때문에찾아오는 환자들을 만나 왔습니다. 더러운게 싫다면서 방을 더럽히고다신 안 그러겠다고 하고 약속을 취소하고,쉬겠다고 하고서는 일 생각을 합니다. 왜 늘 똑같은 문제를 반복하는 걸까요? 바로, '마음의 방어 기제.. 2024. 10. 29. 볼수록 매력적인 사람들의 5가지 공통 특징 볼수록 매력적인 사람들의 5가지 공통 특징 보면 볼수록 더 매력적인 사람들의 5가지 공통 특징 1. '결국 잘될거야'라고 믿는다 현명한 사람들은 어떤 상황이 펼쳐지든 '결국 다 잘될거야'라는 믿음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무조건적으로 성공을 확신하는 것이 아니라자신의 선택을 믿고, 할 수 있는 만큼 나아가는 것이다. 그래서 결과에 연연하기보다는 과정을 즐길 줄 알고,성취에 대한 강박이나 집창이 없이 오히려 더 좋은 결과를 만든다. 2. '이 정도쯤이야'라고 생각한다 자신을 믿고, 자신의 선택을 믿기에 어려운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도'이 정도쯤이야'라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거나, '오히려 좋아'라고 상황을 다른 각도로 바라본다. 성공이나 결과에 연연하지 않기 때문에 실패나 완벽에 대한 부담을 갖지도.. 2024. 10. 2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